반응형 Challenge16 12주차 과제: 애노테이션 #12 애노테이션이란? 애너테이션의 뜻은 Useable한 주석입니다. 우리가 알고 있는 주석은 프로그램에 영향을 못미치지만, 애너테이션은 주석이지만 프로그래밍에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주석이기도 하지만 사용가능한 코드가 되기도 합니다. 소스코드의 주석'/** ~*/'에 소스코드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소스코드의 주석으로부터 HTML문서를 생성해내는 프로그램(javadoc.exe)을 만들어서 사용했습니다. '/**'로 시작하는 주석안에 소스코드에 대한 설명들이 있고 그 안에 '@'이 붙은 태그들이 있는데, 미리 정의된 태그들을 이용해서 주석안에 정보를 저장하고 javadoc.exe라는 프로그램이 이 정보를 읽어서 문서를 작성하는데 사용합니다. 애노테이션 정의하는 방법 @interface 애너테이션이름 { 타입 .. 2021. 2. 12. 11주차 과제: Enum Enum (열거형) 여러 상수를 선언해야 할 때, 편리하게 선언할 수 있는 방법으로, 열거형(enumerated type)이라고 부릅니다. 열거형은 서로 연관된 상수들의 집합이라고 할 수 있다. 열거 타입의 장점 문자열과 비교해 IDE의 지원을 받을 수 있다. (자동완성, 오타 검증, 텍스트 리팩토링) 허용 가능한 값들을 제한 리팩토링 시 변경 범위가 최소화 된다. (내용 추가가 필요해도 Enum 코드 외에 수정할 필요가 없다.) enum 정의하는 방법 enum 열거형이름 { 상수명1, 상수명2, ...} 예를 들어 이동수단을 상수로 정의하는 열거형 Transportation 은 아래와 같습니다. enum Transportation { CAR, BUS, TRAIN, AIRPLAIN } 이 열거형에 정의된.. 2021. 1. 29. 10주차 과제: 멀티쓰레드 프로그래밍 process와 thread 프로그램을 실행하면 OS로부터 실행에 필요한 자원(메모리)을 할당받아 프로세스가 됩니다. 프로세스는 프로그램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데이터와 메모리등의 자원 그리고 쓰레드로 구성되어 있으며, 프로세스의 자원을 이용해서 실제로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 쓰레드입니다. 싱글쓰레드는 한번에 한가지 작업만 가능하지만, 멀티쓰레드는 한번에 여러가지 작업이 가능합니다. ● 멀티쓰레딩의 장점 - CPU의 사용률을 향상시킨다. - 자원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 사용자에 대한 응답성이 향상된다. - 작업이 분리되어 코드가 간결해진다. ※ 멀티쓰레드 프로세스는 여러 쓰레드가 같은 프로세스 내에서 자원을 공유하면서 작업을 하기 때문에 발생할 수 있는 동기화(synchronization), .. 2021. 1. 23. 9주차 과제: 예외 처리 예외처리(exception handling)란? 프로그램 실행 시 발생할 수 있는 예기치 못한 예외의 발생에 대비한 코드를 작성하는 것 이며, 예외처리의 목적은 예외의 발생으로 인한 실행 중인 프로그램의 갑작스런 비정상종료를 막고 정상적인 실행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 입니다. 자바에서 예외 처리 방법 (try, catch, throw, throws, finally) 1. try-catch문 try { // 예외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문장을 넣습니다. } catch (Exception1 e1){ // Exception1이 발생했을 경우, 이를 처리하기 위한 문장을 적습니다. } catch (Exception2 e2){ // Exception2가 발생했을 경우, 이를 처리하기 위한 문장을 적습니다.. 2021. 1. 15. 이전 1 2 3 4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