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Challenge16

4주차 과제: 제어문 제어문(control statement)이란? 프로그램의 흐름을 개발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이끌어 주는 구문을 제어문이라고 합니다. 조건문: if문, switch문 반복문 : for문, while문 분기문 : break, continue, return if문 if(조건식){ // 조건식이 true일 경우 수행될 구문을 작성합니다. } if문은 조건식과 괄호로 이루어져있으며, 조건식이 참일 경우 {} 안의 구문이 수행됩니다. if-else문 if(조건식){ // 조건식이 true일 때 수행될 구문을 기재합니다 }else{ //조건식이 false일 때 수행될 구문을 기재합니다. } if-else문은 조건식이 거짓일 경우 else블럭의 문장을 수행하게 됩니다. if-else if문 if(조건식1){ // 조건식.. 2020. 12. 3.
3주차 과제: 연산자 연산자(operator) → 연산을 수행하는 기호(+,-,*,/)등 피연산자(operand) → 연산자의 작업 대상(변수, 상수, 리터럴, 수식 등) 산술연산자 +,-,*,/,% 사칙연산과 나머지연산(%)을 산술연산이라고 칭합니다. 컴퓨터는 내부적으로 이진수 변환을 한 이후에 이진수를 토대로 자연수를 이해하기 떄문에 직접적인 비트연산인 경우 연산의 속도가 빨라집니다. 우선 10진수를 2진수로 변환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비트 연산자 연산자 설명 예 & 논리곱(and) 각 비트를 비교하여 양쪽 모두 1이면 1, 아니면 0을 반환 | 논리합(or) 각 비트를 비교하여 어느 한쪽이 1이면 1 아니면 0을 반환 ^ 베타적 논리합(xor) 각 비트를 비교하여 한쪽이 1이고 다른 한쪽이 0이면 1을 아이면 0.. 2020. 11. 25.
2주차 과제: 자바 데이터 타입, 변수 그리고 배열 프리미티브 타입 종류와 값의 범위 그리고 기본 값 프리미티브 타입과 레퍼런스 타입 리터럴 자바언어가 처리하는 실제 데이터를 리터럴 이라고 합니다 . 문자형은 'A' '밥' 과 같이 따옴표를 사용해서 표현합니다. 영문자 이외의 유니코드 문자를 표현할때는 '\(역슬래시)u'를 이용해서 표현합니다. 정수형 리터럴은 일반적인 숫자 즉 정수 데이터를 의미합니다 표현할수 있는 방법은 10진수, 8진수, 16진수, 2진수가 있습니다 소수점을 가진 실수형 데이터를 의미합니다 True와 False를 표현할 때 사용하는 논리데이터 입니다. 변수 선언 및 초기화하는 방법 변수타입 변수이름; //변수를 선언하는 방법 int x = 3; // 변수 초기화 , 변수를 선언하고 처음으로 값을 저장하는 것. 변수의 스코프와 라이프타.. 2020. 11. 21.
1주차 과제: JVM은 무엇이며 자바 코드는 어떻게 실행하는 것인가. JVM이란 무엇인가 1. Java VM은 JVM이라고도 하며, VM(Virtual Machine)은 '가상의 기계'라는 뜻으로 Java프로그램을 실행시켜주는 구동엔진을 의미한다. 2. JVM은 Java프로그램의 실행에 필요한 모든 사항을 관리하고 지원해준다. 3. 가비지 컬렉션(Garbage Collection)이라고 불리는 메모리 정리 작업을 자동으로 실행한다. → Java프로그램이 쓰다 남긴 메모리 영역을 수거해서 다른 Java프로그램이 사용할 수 있도록 정리하는 것을 의미. 4. Java로 작성된 애플리케이션은 모두 이 가상 컴퓨터(JVM)에서만 실행되기 떄문에, 자바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기 위해서는 반드시 필요하다. 컴파일 하는 방법 1. 컴파일이란 개발자가 작성한 소스코드를 바이너리 코드로 변환.. 2020. 11. 20.
반응형